본문 바로가기
Event Storming

Event Storming 절차

by kooangelo 2024. 1. 11.
  • 사전 준비 https://kooangelo.tistory.com/329
    - 회의실 확보
    - 준비물 구매
    - 대상 파트/업무구분 나열 https://kooangelo.tistory.com/333
    - 파트별 일정(달력)
  • 자기소개, 목표수립 https://kooangelo.tistory.com/330
  • Event Storming(ES) https://kooangelo.tistory.com/332
  • 후보 시스템 정의
    하나의 통합 시스템이 아닌 여러 시스템으로 분산되는 경우(예 : Microservice 등) 어떠한 업무와 기능을 어느 시스템으로 분할할지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사결정 과정
  • 시스템 연관도
    - 하나의 시스템 또는 여러 시스템에 대한 서로의 관계 표현
    - Microservice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하고
    - 단일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대내외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 파악
       (System Context Diagram https://en.wikipedia.org/wiki/System_context_diagram) 및
       UI, API 등의 정리 필요
  • 서비스 정의
    - ES, 연관도를 거치면서 정제된 프로그램(유형 : UI, API, Batch, Pub/Sub, Interface 등)을 유형별로 나열/정리
    -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록(Backlog)일정계획수립 (중요도, 우선순위, Critical Path 등 반영)
    - 예 : Sprint 별 프로그램 할당(초반/중반/종반), 누가/언제/설계/개발/테스트할 것인지 등

'Event Stor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shop 첫날 또는 새로운 파트를 시작할 때  (0) 2024.01.31
워크샾하면서 느끼는 것  (0) 2024.01.20
업무구분/파트  (0) 2024.01.11
Event Storming 예  (0) 2024.01.11
Event Storming에 대한 설명  (1) 202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