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해설/Cloud 관련 개념10 쿠버네티스가 왜 필요한가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overview/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할 수 있고, 확장 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선언적 구성과 자동화를 모두 지원한다. 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 kubernetes.io 2022. 12. 28. 왜 굳이 도커(컨테이너)를 써야 하나요? https://www.44bits.io/ko/post/why-should-i-use-docker-container 왜 굳이 도커(컨테이너)를 써야 하나요? -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컨테이너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서버를 운영하는 표준적인 기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사용해본다면 그 장점이 잘 와닿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왜 굳이 도커 컨테이너를 www.44bits.io 2022. 12. 28. Kafka 개념, 특징 https://unit-15.tistory.com/135 [Kafka] 카프카 기본 개념_1 (브로커, 프로듀서, 컨슈머, 메시지 + 주키퍼) [Kafka] 카프카 기본 개념 및 간단한 설명 카프카란? 카프카(Kafka) 또는 카프카 클러스터(Kafka Cluster)는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써, 여러 대의 브로커를 구성한 클러스터를 의미한다. 카프카는 링 unit-15.tistory.com 위의 사이트에서 발췌 그리고 특징 https://soft.plusblog.co.kr/3 [Kafka] #1 - 아파치 카프카(Apache Kafka)란 무엇인가? 데이터 파이프라인(Data Pipeline)을 구축할 때 가장 많이 고려되는 시스템 중 하나가 '카프카(Kafka)' 일 것이다. 아파치 카프카(Apac.. 2022. 12. 23. 전통적인 방식, VM, Container 그리고 Kubernetes https://smoh.tistory.com/348 [Kubernetes] 쿠버네티스가 왜 필요하고 무엇을 할 수 있나? 요즘 개발 후 배포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가 도커입니다. 도커 하면 뒤이어 따라 나오는 것이 쿠버네티스입니다. 이 글에선 쿠버네티스가 대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smoh.tistory.com [Kubernetes] 쿠버네티스가 왜 필요하고 무엇을 할 수 있나? 요즘 개발 후 배포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가 도커입니다. 도커 하면 뒤이어 따라 나오는 것이 쿠버네티스입니다. 이 글에선 쿠버네티스가 대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smoh.tistory.com https://subicura.com/2019/05/19/kubernetes-basi.. 2022. 12. 23. CSP, MSP CSP(Cloud Service Provider) https://blog.lgcns.com/2204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CSP)와 그 특징은? 클라우드로 전환을 결심하고 나면 기업은 다양한 질문과 고민거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기업들이 먼저 하게 되는 질문은 ‘어떤 CSP(Clou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를 blog.lgcns.com MSP(Managed Service Provider)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public_cloud_msp.html 퍼블릭 클라우드 효과를 배가시켜 주는 MSP[Managed Service Provider] 퍼블릭 클라우드 효과를 배가시켜 주는 MSP[Managed Servi.. 2022. 12. 13. AM, CNA, DT 요즘 위의 개념들이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데, 대략 위와 비슷하려나 ... App Modernization(AM) https://kooangelo.tistory.com/142 Cloud Native Application (CNA) https://kooangelo.tistory.com/140 Digital Transformation(DX 또는 DT) https://aws.amazon.com/ko/what-is/digital-transformation/ 2022. 12. 9. Application Modernization https://www.vmware.com/topics/glossary/content/application-modernization.html What is application modernization? 위의 내용을 발췌, 요약, 첨언했습니다 Application Modernization(AM) 이란 - 새로운 Languages, Framework, Infrastructure 등 새로운 컴퓨팅 접근방식으로 오래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것 - Legacy modernization or Legacy application modernization 라고도 함 - 효율성, 안전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 오래된 집을 개조하는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 Legacy Application을 왜 Modernize하는가 -.. 2022. 7. 7. Cloud Native Application https://tanzu.vmware.com/kr/cloud-native 발췌 + 첨언 Cloud Native Application (CNA) - Cloud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활용하는 Application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한 접근 방식 - DevOps, CI/CD, Microservice, Container 등의 개념/기술 필요 DevOps - SW전달과 Infrastructure 변경 프로세스 자동화를 목표로 개발자와 IT 운영자가 협업한 결과물 -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 생성, 테스트, 릴리스를 신속하게 자주 진행할 수 있는 문화와 환경 -> MSA의 목표 중 하나인 Rapid/Frequent/Reliable Deploy CI/CD - 서비스별 독립적으로 배포할수 있다면 통합 배포를 기다릴 필.. 2022. 6. 25. VM, Container, Docker, Kubernetes 개념과 비교 https://samsungsds.com/kr/story/220222_kubernetes1.html 쿠버네티스 알아보기 1편: 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 도커에 대한 기본 개념 요즘 IT 생태계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쿠버네티스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을 텐데요. 쿠버네티스에 대해 개발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여러 대기업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쿠버네티스를 samsungsds.com 위의 사이트 중 발췌 쿠버네티스 2014년 구글에서 Go라는 언어로 개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배포 오토스케일링, 스케줄링, 서비스 디스커버리, 로드밸런싱, 리소스 관리 등을 지원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https://bcho.tistory.com/1256 쿠버네티스 #2 - 개념 이해 (1/2) 쿠버.. 2022. 6. 18. Kafka 처리량 관련 서비스정의 워크샾 시 TOBE 기준 서비스간의 연관 관계 파악 시 Event Driven 으로 Low Coupling을 강력하게 권장한다. (Self-Contained Service가 되려면, 자율성/독립성이 높아지려면, 그래서 MSA를 하는것이니) 이 때 반드시 사용하게될 MQ, 그중에서도 Kafka를 주로 사용한다. Kafka 를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한 이견이 없는데, 기존 ASIS의 대용량 처리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갖는다. 자세한 것이야 당연히 관련 전문가(SWA, TA 등)이 더 잘 아시겠고 장단점 등을 제시해야겠지만 일단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 사이트 정도를 참고하면 되겠다. https://team-platform.tistory.com/6 위와 같이 스펙이나 여러.. 2022. 3.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