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는 모델러다

시스템 공통 및 공수

by kooangelo 2025. 1. 13.

어느 업무영역의 시스템이든, 시스템이 크든 작든,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공통적인 기능 또는 시스템 관리 영역이 있다.

  • 공통코드, 기준정보
  • 메뉴, 화면, 버튼, 접근이력
  • 조직, 사용자
  • 권한, 인증(Authentication), 인가(Authorization)
  • 결재
  • 로그인, 로그인 이력, 메인화면
  • 즐겨찾기, 게시판
  • 우편번호
  • 메시지, 도움말
  • 알림, SMS, Email, 알림톡
  • 첨부파일 ... 등


조직 또는 시스템 특성 상 일부는 외부 솔루션으로 분리된 경우도 있고 더 구현해야할 요소, 공통기능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략 위의 요소들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일거리들은 잠깐만 고민해도 금방 뽑아낼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시스템 관리 또는 공통 기능을 '누가 분석/설계/개발할 것인가' 이다.


이러한 시스템 공통에 대해서도 ASIS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TOBE의 추가/변경되는 IT 고객 등의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어떤 화면이 더 필요하고 어느 테이블이 추가되어야 하는지, 어떤 인터페이스들이 추가/변경되는지 등 분석해야할 상당한 부분이 있다. 그리고 그 분석결과 범위가 정해지면 시스템 관리 영역의 프로그램(UI, Report, API, Interface 등) 전체 모수를 파악해서 누가, 언제, 어떻게 설계, 개발, 테스트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해야 비교적 정확한 공수가 나온다.

그런데 돈이 많은 큰 프로젝트 또는 PM, QA, 감리 등에서 잘 챙기는 경우가 아닌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관리에 대한 분석설계자 공수, 개발자 공수가 처음부터 책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각 분야 전문가인 SWA, DBA 등에게 적당히 분배하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는 협렵업체나 프리랜서 공통 개발자에게 적당히 몇 개 개발해달라고 하면 되는것 아닌가 생각하기도 한다.

위에서 열거했던 시스템 관리 및 공통 각 업무별 테이블이 하나씩만 있다고 해도 테이블 갯수만 20개이다. 단순히 CRUD만 계산해도 80개 기능, 약 20~30개 화면이 만들어져야 한다. 게다가 권한, 인증, 인가, 메인 등은 난이도도 높고 끝까지 추가/변경되는 요구사항도 많다. 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도 많다. 이러한 업무를 알바 쓰듯이 대충 누구에게 맡긴다고 해결되겠는가?

제안할 때 부터 수행사 파트중 하나로 시스템관리 또는 공통파트를 만들고 정확히 공수에 포함해야 한다. 그리고 이 공통업무 특성상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각 파트에서 애매하거나 주인없는 업무등이 공통으로 이관되어, 일이 늘어나면 늘어났지 줄어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공통, 시스템 관리와 같은 업무... 

생각보다 고민도 많이해야하고 공수도 꽤 든다. 

간과하지 말자. 

'나는 모델러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석단계 - 기능분해와 업무흐름정의, 화면정의와 데이터모델링  (0) 2025.01.14
Entity, Attribute 명명  (0) 2025.01.13
Class, Method 명명  (0) 2025.01.13
화면설계와 DB설계만?  (0) 2025.01.09
CRUD 권한?  (0)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