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삶을 산다는 것의 진짜 의미
이 지구상에는 명령 받는 것을 아주 싫어하는 동물이 두 종류 있다.
하나는 청개구리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 인간이다.
동화에 나오는 청개구리는 엄마 개구리가 동쪽으로 가라고 하면 서쪽으로 가고, 않으라고 하면 일어선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뭘 하려다가도 누가 시키면 갑자기 하기 싫고 '내가 하나 봐라' 심술을 부리며 일부러 안 하려고 든다.
어릴 적 책상에 앉았는데 '공부해라'라는 엄마의 말에 '에잇, 안 해' 하며 책을 덮어 본 사람들은 무슨 말인지 잘 알 것이다.
누군가 시키면 하기 싫어지는 데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해 주도권을 갖고 싶어 하는데 명령을 받으면 그 주도권을 남에게 빼앗긴 듯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타인이 명령을 내리고 통제를 가하면 그것을 자꾸만 벗어나고 싶어한다.
'봐, 나는 네가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 아니야. 난 내가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어'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사실 자율성은 인간의 중요한 본능적 욕구 중 하나다.
타인의 간섭과 침입을 막고 내 영역을 지켜 인생의 주인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이 태어나서 처음 하는 의사 표현도 바로 '싫어' 혹은 '안해'다.
갓난아이는 배가 부르면 아무리 입에 우유를 넣어 주어도 고개를 돌리고 뱉어 버린다.
자고 싶지 않으면 죽어도 자지 않고, 조금만 불편하게 안아도 제대로 안으라며 자지러지게 울어 댄다.
그래서 아이를 키우는 과정은 이처럼 뭐든지 제멋대로 하려는 아이를 사회라는 테두리에 맞추어 나가는 것이나 다름없다.
...
그래서 사회적으로 보면 잘 살고 있는 것 처럼 보이는데 내 안에서는 자꾸만 화가 치솟는다.
남들의 눈 때문에 늘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나 자신이 싫은데, 그런 상황에서 누군가 나를 조금이라도 통제하려고 들면 '통제' 그 자체에 예민해진다.
존종받기는 커녕 남들에게 또다시 휘둘리는 느낌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특히나 어릴 적 부모의 강한 통제 속에 자라난 아이는 어른이 되어 통제받는 것을 유달리 못 견디는 경향을 보인다.
...
그래서 나는 남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인생을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사람들에게 말한다.
'통제 소재를 내 안으로 가져올 것'
저 사람들이 원하는 것에 내가 맞춰 가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해야할 일이기 때문에 내가 그 일을 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라는 것이다.
그러면 하기 싫은 일을 할 때조차 시키니까 어쩔 수 없이 하는 게 아니라 '내가 하는 거다', '내가 빨리 해주고 넘어가 버리는 거다'라고 생각하게 된다.
즉 내가 그일의 주체가 되고 주인이 되는 것이다.
...
인관관계도 마찬가지다. 꼴도 보기 싫은 사람이 있는데 내가 그에게 맞춰 줘야 하는 상황이 되면 누구나 스르로를 비굴하고 초가하게 느낀다.
...
설령 그 사람 때문일지라도 문제의 원인을 확인하는 데 치중하지 말고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지 생각해보자.
그 어떤 억울한 일을 당했더라도 그것을 해결해야 할 사람은 바로 나다.
부모도 가족돈 배우자도 해결해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남 탓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할 사람이 나밖에 없다는 사실부터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김혜남, p47 ~ 52
(그래, 내 마음 먹기에 따라 다른것이다.
화내면 한 없이 화낼 수 있지만,
뭐가 그렇게 심각한가.
그 보다는 좀 더 가볍게,
좀 더 재밌게 대할 수는 없을까.
흥분하지 말고 차라리 솔직하게 차분히 이야기해보자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다. 차라리 그렇게라도 의견을 구해보자.
내 고집을 부리기전에...)
'마음공부 > 인생을 다시 산다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힘든 때일수록 유머를 잃지 않을 것이다 (0) | 2023.02.24 |
---|---|
더 많은 실수를 저질러 볼 것이다 (0) | 2023.02.24 |
웬만하면 충고하지 말자 (0) | 2023.02.21 |